전체 메뉴 바로가기 메인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통합검색

최적의 진료로 신뢰 받는 환자 중심 병원 BUNDANG JESAENG HOSPITAL

멀티미디어강좌

다음 페이지로 가기

속쓰림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4-04-22
  • 조회수 :2343
해당 영상은 Internet Explorer만 사용 가능합니다. Internet Explorer으로 이용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동영상 자막

안녕하십니까?

저는 소화기내과를 맡고 있는 박주상이라고 합니다.

작년 10월에 지역주민 및 환자분들 대상으로 역류성식도염에 대해서 강의를 했었습니다.

외래에서 시간이 촉박하니까 질환에 대한 설명을 자세하게 드릴 수 없었고

환자분들이 질문하시는 내용을 보면서 한 번 더 강의가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이런 시간을 통해 환자분들이 질환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강의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환자분들이 느끼는 오해라고나 할까, 착각이라고 할까, 다른 견지에서 이런 점들을 지적하기 위해서 오늘 강좌 제목을 속 쓰림 이라고 잡았습니다.

왜 속 쓰림 이라고 잡았냐 하면은 소화기내과 오시는 환자분들이 대부분 증상은 갑자기 소화가 안 되요.

또는 속이 쓰려요. 아니면 위가 아파요.보통 위가 더부룩해요. 이렇게 보통3-4 가지의 증상을 가지고 오십니다.

그분들은 오시면서 위가 안 좋아요. 과거에 위 내시경을 했는데 그때 위염이라고 했는데, 아 위염인가 봐요.

위염 때문에 이렇게 속이 쓰린가 봐요 이렇게 말씀하시는데 보면은 다른 병원 주변에 개인 병원에 가서 진료를 했는데 위염 이라고, 위염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 그래서 열심히 위염 약을 먹었는데 1주 2주 지나도 차도가 없어서 왔다고 그러면 제가 그러죠  위염이면 낳으셔야 되는데 왜 계속 아플까요? 위염이 아닌가 보죠. 제가 그러죠

위염이 아닌 거죠, 환자분들이 속이 쓰려서 왔지만 보통 몸이 안 좋거나 피곤하면 간이 안 좋은가 아니면 당뇨가 있나

보통 이렇게 선입견을 가지고 오시는 분들이 있는데, 저와 같이 소화기 쪽에 질환이 있을 때 가장 많이 환자분들이 호소하는 소화 불량이나 위통 아니면 위 속 쓰림 이러한 증상으로 오실 때 속 쓰림이 위에 문제만이 아니라는 것을 제가 알려드리기 위해서 강의 제목을 속 쓰림으로 잡았습니다.

슬라이드를 보시면 2006년도에 소화기내과 선생님들이 속 쓰림에 대한 유병률이 얼마인지 전국적으로 조사를 했었습니다.

그 당시에 이 많은 사람들이 속이 쓰리다고 소화기내과에 내원을 했었는데 그러면 환자분들이 속이 쓰리다고 하는데

이 아래에서 가장 잘 속이 쓰리다고 표현 한 것이 어떤 거냐고 했을 때 환자분들이 속이 쓰리다고 왔지만 가만히 읽어보니까

본인의 속 쓰림은 위가 쓰린 것이 아니라 가슴이나 아래 부위가 쓰리거나 따갑다 하는 분들이 반절이 넘고요.

명치 끝이 고추 가루 뿌려 놓은 것처럼 따갑다. 또는 화끈거리거나 쓰리다.명치부위 쓰리다고 하신 분들이 이렇게 되고요.

그 다음에 명치 부위에서 뭔가 쓰린 것이 치밀어 올라온다. 라는 증상 또는 가슴 뒤가 뭔가 답답하다. 이게 뭔가 타는 것 같다.

이러한 증상으로 본인은 속이 쓰리다고 판단해서 오셨지만 자세히 물어 보면 정확한 속 쓰림의 표현은 이거가 되겠고

이러한 것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거의 90% 가까이 됩니다. 그래서 그 당시에 설문 조사를 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속이 쓰리다고 하는 것은 대부분 가슴 아래 쪽 부위나 또는 명치 끝 쪽에 속이 쓰림을 말하는 구나 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환자분들은 위가 쓰려요 이렇게 다음부터는 말씀하지 마시고 제가 지금 속이 쓰린데 가만히 보니까 가슴 아래 부분이나

명치 끝이 속이 쓰린 것 같아요 이렇게 표현 하시는 것이 환자분들이 가장 잘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만 그런 것이 아니라 외국도 똑 같습니다. 환자분들이 선생님 소화가 안 되요 그렇게 오거든요. 그러면 의사가

자세하게 물어보죠. 혹시 소화가 안 될 때 그 증상이 위나 가슴 아래쪽 명치 쪽부터 뭔가 타는 듯이 올라오는 느낌 입니까?

하고 물어 보니까 환자분들이 예 맞아요 제 소화 불량은 이거였던 것 같아요 라고 하시는 사람들이 42%나 됩니다.

외국도 똑 같아요. 소화가 안 되요 하는 분들의 42%는 정확히 말하면 명치 끝이나 가슴 아래부위 그 쪽에 속이 쓰린 환자들이죠.

이 선생님이 과거에 연구를 하셨어요 명치 끝, 위통, 또는 그 쪽이 거북한 속 쓰림

속 쓰림을 가지는 환자가 소화기 내과에 왔을 때 전부 내시경을 했어요. 내시경을 해서 보니까 그 중에 속 쓰림의 대부분이 명치 끝이나

가슴아래가 속이 쓰린데 이런 분들을 보니까 그 증상이 역류성식도염 증상이거든요. 역류성식도염을 가진 사람이 반절이 되더라.

나머지 1/3은 급성 위염, 위 궤양, 십이지장 궤양 이러한 질환이 되겠고 한 1/5정도 극히 일부분이 보통 흔히 말하는 아 속 쓰림 위염인가

하는 신경성 위염 환자분들이 되겠습니다. 결국 환자가 속이 쓰려서 병원에 오지만 대부분이 역류성 식도염이나 또는 위 십이지장궤양이 되겠고

극히 일부분만 신경성 위염이 되겠죠. 환자분들도 속이 쓰리면 위가 안 좋은가 그렇게 생각을 하지 마시고 역류성식도염인가 라고 먼저의심을 해 봐야

되겠습니다.

그걸 나타내 주는 연구가 또 하나가 있는데 역류성식도염 환자를 대상으로 주 증상이 주로 호소하시는 속 쓰림으로 봅니다.

이 분들한테 역류성식도염 증상이 있으세요 라고 물어 봤죠. 예를 들면 명치 끝이나 가슴 아래 부분이 쓰립니까? 아니면 산이 올라오는 것을 느낍니까

물어보니까 이 속 쓰리다고 하신 분들은 이미 역류성식도염 진단을 내시경으로 받으신 분들 이예요. 이분 들이 맞아요. 역류성식도염 증상들이 이렇게

이렇게 많이 있네요. 거의 반절이상이 역류성식도염 증상을 호소 합니다. 여러분들도 혹은 여러분들 주변에 아니면 가족 분들한테 속이 쓰리다고 하면

혹시 명치 끝이나 가슴아래쪽이 쓰리지 않니 혹은 위산이 올라오지 않니 라고 물어 보시고 그렇다고 하면 그 속 쓰림은

위가 안 좋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역류성식도염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속 쓰린 위치를 가지고 어느 정도 병을 유추할 수 있는데 만일에 명치 끝이나 가슴아래 부위 아니면 목까지 올라오는 속 쓰림이 있는 분들은

역류성식도염이 주로 되겠고. 주로 윗배(명치와 배꼽 사이)나 명치 끝이 불편하신 분들은 주로 위나 십이지장궤양 때문에 오는 그런 분들이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윗배가 불편한데 역류성식도염 때문에 오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제가 처음에 말씀 드린 건강검진 위 내시경하시고  위에 염증이 좀 있고 속이 쓰려

그래서 병원에 오셔서 제가 얼마 전에 내시경을 했는데 위에 염증도 있다 하고 마침 속이 쓰려서 왔는데 위염 때문에 그렇지 않습니까 하면 제가 환자분들한테

설명하는 것이 있죠. 물론 위염도 조금 있지만 위염보다는 역류성식도염 증상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데 그 이유는 내시경을 했을 때

식도와 위를 관찰하는데 그때 보면은 환자 분들이 한가지 병만 가지고 있는 경우는 드문니다. 역류성 식도염 또는 위염 또는 십이지장궤양 이런 것들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이것만 가지고 있는 분들도 있지만 내시경을 보면은 식도에 염증이 있으면서 위에도 염증이 있고, 또 어떤 분들은 식도에 염증이 있으면서

위에도 염증이 있고 궤양도 가지고 있는 이렇게 3가지 또는 2가지 이상 같이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분당제생병원 로고

주소 1359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20(서현동 255-2) 연락처 대표전화:031-779-0000 응급센터:031-779-0119 ⓒ 2021 DAEJI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