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과 아이콘
내과
 - 
				
소아청소년과 아이콘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아이콘
신경과
 - 
				
정신건강의학과 아이콘
정신건강의학과
 - 
				
피부과 아이콘
피부과
 - 
				
가정의학과 아이콘
가정의학과
 - 
				
재활의학과 아이콘
재활의학과
 - 
				
외과 아이콘
외과
 - 
				
신경외과 아이콘
신경외과
 - 
				
정형외과 아이콘
정형외과
 - 
				
흉부외과 아이콘
흉부외과
 - 
				
성형외과 아이콘
성형외과
 - 
				
산부인과 아이콘
산부인과
 - 
				
안과 아이콘
안과
 - 
				
이비인후과 아이콘
이비인후과
 - 
				
비뇨의학과 아이콘
비뇨의학과
 - 
				
응급의학과 아이콘
응급의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아이콘
마취통증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아이콘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아이콘
병리과
 - 
				
영상의학과 아이콘
영상의학과
 - 
				
치과보존과 아이콘
치과보존과
 - 
				
치과보철과 아이콘
치과보철과
 - 
				
구강악안면외과 아이콘
구강악안면외과
 - 
				
방사선종양학과 아이콘
방사선종양학과
 - 
				
핵의학과 아이콘
핵의학과
 
일반현황
| 진료과목 | 본·별관 | 병상수 | 대지면적 | 연면적 | 규모 | 
|---|---|---|---|---|---|
| 26과 | |||||
| 본관 | 345병상 | 11,000.10㎡ | 60,778.85㎡ | 지상8층~지하4층 | |
| 별관 | 173병상 | 3,489.7㎡ | 17,221.57㎡ | 지상6층~지하2층 | 
진료과목(26과)
시설현황
본관
| 대지면적 | 연면적 | 건물층수 | 구조 | 승강기 | 주차대수 | 
|---|---|---|---|---|---|
| 11,000.10㎡ (3,327.5평)  | 
						60,492.99㎡ (18,331.2평)  | 
						지하4층~지상8층 | 철근 콘크리트라멘조  | 
						11대 | 487대 (장애주차시설 10대 포함)  | 
					
별관
| 대지면적 | 연면적 | 건물층수 | 구조 | 승강기 | 주차대수 | 
|---|---|---|---|---|---|
| 3,489.70㎡ (1,055.63평)  | 
						14,828.10㎡ (4,477.57평)  | 
						지하2층~지상6층 | 철골조, SRC조 | 3대 | 129대 | 
시설배치현황
본관
| 층 | 시설배치현황 | 
|---|---|
| 5층~8층 | 병동 | 
| 4층 | 교육수련부, 감염관리실, 의료정보팀, RI병실, 의국, 대강당, 옥상휴게광장 | 
| 1층~3층 | 외래진료실, 응급의료센터, 진료협력센터, 원무관리팀, 진단검사의학과, 기능검사실, 수술장, 중환자실, 분만장, 신생아실, 병리과, 편의점 | 
| 지하1층 | 국가검진센터, 영상의학과, CS팀, 영양팀, 약제팀, 외래식당, 의료기상사, 장례식장 | 
| 지하2층~지하4층 | 방사선종양학과, 가정간호사업소, 사회사업팀, 의무기록팀, 구매관리팀, 중앙공급실, 세탁실, 관리창고, 장례식장, 주차장 | 
신관
| 층 | 시설배치현황 | 
|---|---|
| 4층 | 인공신장센터, 국제진료센터 | 
| 3층 | 종합검진센터 | 
| 2층 | 소화기센터, 내시경센터 | 
| 1층 | 주차장 | 
별관
| 층 | 시설배치현황 | 
|---|---|
| 6층 | 의국 | 
| 4층~5층 | 병동 | 
| 3층 | 임원실, 재단사무국, 간호부, 기획홍보팀, 인사총무팀, 재무관리팀, 적정진료지원팀, QPS팀, 도서실, 연구실 | 
| 2층 | 재활의학센터, 치과센터 | 
| 1층 | 피부과, 성형외과,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안전보건팀, 임상교육연구센터, IRB 행정실, 제생어린이집 | 
| 지하1층~지하2층 | 시설관리팀, 별관 지하 연결통로(지하1층), 소강당, 주차장 | 
의료정보 시스템 현황
- 진료실의 동일 모니터상에서 EMR(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구축.
 - PACS, EMR등의 대량의 의료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ATM네트워크망 구축.
 - TLA(전 검사자동화 반송시스템)을 도입하여 자동설비에 의한 검체의 이동으로 검사시간의 단축은 물론 검사의 질적 향상을 높여 최단시간에 검사결과를 병원의 어느 곳에서라도 모니터를 통해 확인.
 - 서버시스템, 네트워크시스템 및 UPS(무정전시스템)등 Main System부분은 무정지 가동이 필수적인 진료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철저한 Fail Over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