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메인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통합검색

최적의 진료로 신뢰 받는 환자 중심 병원 BUNDANG JESAENG HOSPITAL

림프부종의 원인, 관리, 치료

문현임 의료진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8-03-09
  • 조회수 :1757

림프부종의 원인, 관리, 치료


글 _ 재활의학과 문현임 전문의



1. 림프부종이란 무엇일까요?


림프액이 정상적으로 순환하지 못하고 연부조직에 오래 머무르게 되어 조직이 팽창된 것을 림프부종이라고 합니다. 유방암 수술은 한 쪽 팔을 붓게 하며, 세균 감염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고, 오랫동안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조직의 섬유화로 딱딱해져 림프액의 이동은 더 어려워지게 됩니다.



2. 림프부종의 증상은 어떤 것인가요?


◈ 팔을 눌렀을 때 피부가 팽팽하고 단단하게 느껴짐 

◈ 팔을 움직이기 힘들거나 구부리기 힘든 느낌 

◈ 옷을 입거나 장신구를 찰 때 평상시와 다르게 꽉 조이는 느낌 

◈ 피부를 눌렀을 때 만지는 부위의 피부 함몰 


림프부종은 경미한 통증을 동반할 수는 있지만, 통증이 심하다면 이차적인 감염 (림프관염, 봉와직염)이 생겼거나 암의 재발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3. 림프부종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물리치료(마사지, 압박 붕대, 운동, 피부관리)가 치료의 중심이 됩니다. 안타깝게도 약물치료는 보조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림프부종의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물리치료는 다음과 같이 림프 마사지, 압박붕대 및 스타킹법, 운동, 피부관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림프마사지 (도수 림프 배출법) 

림프 마사지는 림프부종이 있는 부위를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고여 있는 림프액을 정상 부위로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합니다. 마사지 방법은 부드럽고, 천천히, 리듬감있게, 반복적으로 원을 그리면서 시행합니다.


? 압박붕대 및 스타킹법 

▶ 붕대는 일반적인 스포츠 붕대가 아닌 저탄력 붕대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말단부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감아 압력 편차를 주고 피부나 뼈가 튀어나온 부위는 적당하게 패드를 대서 피부를 보호하고 골고루 압력이 주어지게 합니다. 붕대는 매일 풀었다가 다시 감아야 합니다. 

▶ 부종이 어느 정도 호전되면 압박붕대와 함께 탄력스타킹법을 병행합니다.


? 운동 

일반적으로 유방암 수술 후에는 팔 사용을 잘 하지 않음으로써 근력이 떨어지고 관절운동 범위가 줄어들고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운동을 할 경우 근육이 강화되어 림프액 이동을 활성화시키고 관절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게 됩니다.


? 피부관리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가 트고 갈라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외출 시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발라주며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긴 소매 옷을 입습니다.



4. 림프부종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수술받은 쪽 팔에 상처를 입지 않게 주의합니다. 림프부종 환자들은 감염에 취약한 상태이므로 벌레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뜸을 뜨거나 침을 맞지 말도록 합니다. 수술받은 쪽 팔에서는 혈액 채취나 혈압 측정도 가급적 하지 않고 손톱 정리시에도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합니다. 

▶ 뜨거운 찜질이나 사우나의 이용은 림프액의 생성을 증가시키므로 너무 자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무거운 물건을 부종이 있는 쪽 팔로 들지 않는 것이 좋고 꽉 조이는 옷이나 시계, 반지 등의 액세서리는 착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재활의학과 문의전화 031-779-0063


분당제생병원 로고

주소 1359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20(서현동 255-2) 연락처 대표전화:031-779-0000 응급센터:031-779-0119 ⓒ 2021 DAEJI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