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의 방사선 치료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8-03-09
- 조회수 :1887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
유방암은 수술 후 검사상에는 보이지 않지만 조직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암세포를 파괴하여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필요합니다.
유방부분절제술을 받아 유방 조직이 남아 있는 경우 모두 방사선 치료를 받으셔야 하며, 유방전절제술을 받은 경우는 종양의 크기가 5cm 이상이거나,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절제연에 종양 세포가 남아 있는 경우 방 사선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1. 방사선 치료의 특징
방사선 치료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5일 매일 받으며, 1 회에 걸리는 시간은 10-30분 정도입니다. 방사선 치료를 받을 때 뜨겁거나 아프지 않고 아무런 느낌이 없으며, 방사선 치료를 받는다고 해서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 방사선 치료 시기
수술 후 항암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수술 후 약 3~4주가량 지나서 상처가 회복된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작하면 됩니다. 수술 후 항암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항암치료가 종료된 후 2-3주 정도 지나서 방사선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3. 방사선 치료의 횟수
유방 관상피내암(0기)으로 유방부분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는 총 25-28회 치료합니다. 침윤성 암(1-3기)으로 유방부분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는 총 30-33회 받게 되며, 유방전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는 총 25-28회 받게 됩니다. 이렇게 표준적인 방사선 치료 기간은 약 6주~7주 정도입니다. 최근에는 저분할 방사선치료(hypofractionated radiotherapy)라 하여 1회당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총 치료 횟수는 줄이는 치료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저분할 방사선치료는 총 20회(4주)로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방사선 피부염도 경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가 이 치료를 받을 수는 없으며, 환자의 연령, 유방암의 병기, 방사선 치료 범위에 따라 표준 방사선치료 또는 저분할 방사선 치료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4. 방사선 치료 부위
일반적으로는 전체 유방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종양이 있었던 자리에 5-6회의 집중 치료를 더 받게 됩니다. 종양의 크기가 5cm 이상이거나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4개 이상 있었던 경우는 쇄골상 림프절이나 내유림프절 부위에도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됩니다.
5. 방사선 치료 계획법
최근에는 다수의 환자에서 주변 장기를 좀 더 보호할 수 있고 보다 정교한 치료 방법인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심장 보호가 필요한 좌측 유방암, 저분할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 쇄골상 림프절 또는 내유림프절 영역에도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본원은 선형가속기 래피드아크를 이용하여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6.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
치료 시작 후 2-3주경부터 치료를 받는 부위가 붉어지고 점차 햇볕에 탄 듯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방사선 피부염이라고 합니다. 주로 겨드랑이 부위, 유두 부위, 가슴 아래 살이 겹치는 부위가 심해지며 물집이 잡히거나 껍질이 벗겨지며 진물이 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피부 변화는 치료 종료 후 2-3개월 지나면서 회복됩니다. 예방과 회복을 위해 방사선 피부염 전용 보호 크림을 바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 방사선종양학과 문의전화 031-779-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