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재활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18-06-04
- 조회수 :1123
심장재활
1. 심장재활이란?
심장재활이란 심장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등)을 가진 환자나 심장 수술 전후 환자들의 건강 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입니다. 심장혈관 질환 환자들은 질환 자체의 문제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운동을 피하게 되어 운동능력이 저하됩니다. 결국 삶의 질이 저하되고 다른 2차적인 합병증이 생기게 되면서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도 건강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질병뿐 아니라 영양과 생활습관까지 관리하는 것이 심장재활입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이 처방되며, 금연, 비만, 영양, 스트레스 관리 등 심장질환의 위험요소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2. 심장재활의 효과
1) 심장질환 시술 또는 수술 후의 회복이 빨라집니다.
2) 활동, 운동 시의 가슴 통증, 호흡곤란 증상이 호전됩니다..
3) 생활습관과 식습관의 호전으로 질환의 재발이 줄어듭니다.
4) 심폐 운동능력이 향상됩니다.
5) 심장질환으로 인한 재입원율, 전체적인 입원율이 감소합니다.
6) 질환과 관련된 사망률뿐만이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한 전체적인 사망률이 감소합니다.
7) 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우울, 불안감이 줄어들고 활력 있는 삶을 살게 되고 삶의 질이 호전됩니다.
3. 심장재활이 필요한 환자는?
▶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환자
▶ 만성 심부전증 환자
▶ 관상동맥 풍선확장 및 스텐트 삽입 시술을 받은 환자
▶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수술(CABG)을 받은 환자
▶ 심장이식술, 심장 판막수술을 받은 환자
▶ 심박동기(pacemaker) 및 심실보조장치(VAD) 삽입술을 받은 환자
▶ 말초동맥질환 (PAD)
▶ 복부 수술 및 폐 수술 전후의 환자
4. 심장재활 프로그램 일정
▶ 1기 - 입원기간
- 시술 또는 수술 후 의학적인 상태가 안정되면 2~3일 경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심장재활 치료실에서 심전도 모니터링을 하면서 낮은 강도로 트레드밀 혹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을 안전하게 시행합니다.
- 심장질환에 대한 교육 및 위험인자 (식이요법, 금연 등)에 대한 교육이 포함됩니다.
▶ 2기 - 외래 기반 모니터링 운동
- 퇴원 후 컨디션이 회복된 후 본격적으로 강도를 높여서 운동을 하는 시기입니다.
- 심폐운동검사를 시행하여 환자의 상태가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최대 강도를 확인하여 개개인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을 처방합니다. (주 3회, 6~8주)
▶ 3기 - 평생 지속되는 자가운동 및 위험인자 관리
- 주기적인 외래 추적 관찰을 통하여 심폐운동검사를 시행하여 환자의 운동능력과 심폐기능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운동처방을 합니다.
글 _ 재활의학과 윤서연 전문의
재활의과 문의전화 031-779-0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