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메인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통합검색

최적의 진료로 신뢰 받는 환자 중심 병원 BUNDANG JESAENG HOSPITAL

갑상선암에 대하여···

김광현 의료진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4-11-05
  • 조회수 :114

갑상선암에 대하여···


+ 갑상선이란?

갑상선은 목의 앞쪽 중앙 아래 부위에 위치하는 나비 모양의 기관으로 우리 몸의 에너지와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로, 갑상샘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갑상선이란 말의 유래는 방패 모양이란 뜻의 한자어에서 나온 것이며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면 온몸의 대사기능이 저하되어 추위를 잘 타고 쉽게 피로하며 전신적인 기능의 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대부분 오랜 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자각증상을 뚜렷이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갑상선의 위치 및 구조

+ 갑상선암의 종류

갑상선에는 다양한 종류의 혹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갑상선 결절이라고 부르고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나누며 악성 결절을 갑상선암이라고 합니다.
갑상선암은 기원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등으로 나뉘며 분화 정도에 따라서 분화암, 저분화암과 미분화암으로도 나누는데 분화의 정도가 나쁠수록 예후가 나쁘지만, 갑상선암의 대부분은 여포세포에서 기원하는 분화가 잘된 유두암이며 예후가 매우 좋은 암입니다.
미분화암 혹은 역형성암이라고 불리는 암은 전체 갑상선암의 1% 미만을 차지하며 이암은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고 진단이 되었을 때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 갑상선암의 증상

일반적으로 갑상선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두암은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개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 목에 있는 혹이 만져지거나 신체검진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암이 커져서 주위 조직을 침범하게 되면 이에 따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성대로 가는 신경이 갑상선 밑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성대 신경이 침범되면 성대마비가 와서 목소리가 잘 안 나오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암이 진행하여 기도 혹은 식도의 침범이 있으면 호흡곤란이나 삼킴장애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갑상선암의 진단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갑상선 유두암의 진행 속도는 매우 느려서 평생 암이 있는지도 모르고 사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단 갑상선에 결절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이것이 암인지 양성결절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초음파검사인데 초음파검사 소견에 암의 의심이 있으면 세포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세포 검사는 가는 주삿바늘을 사용하는 세침흡인 검사이며 초음파검사로 암의 의심이 있는 부위에서 주사기로 찔러서 세포를 뽑아내서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암세포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인데 정확도가 80~90% 정도가 되며 부작용도 거의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다 굵은 바늘을 이용하는 흡인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또한 경부림프절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부 전산화단층촬영(CT scan)을 하기도 하며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전신 스캔이나 양전자 단층촬영(PET scan)으로 전신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갑상선암의 치료

갑상선암의 치료는 진행 상태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치료는 수술로 갑상선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갑상선암은 거북이 암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진행 속도가 느린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기의 1cm 미만의 작은 암이 갑상선 피막을 뚫고 나오지 않은 경우에는 수술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초음파검사를 하여 암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갑상선 외부를 침범하고 경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수술을 시도하는 능동 감시의 방법도 최근에는 권유하고 있습니다. 수술 범위는 갑상선암의 종류, 크기, 환자의 나이와 병기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데 암이 한 쪽 갑상선에 국한하여 있고 외부 침범이나 전이가 없는 경우에는 암이 있는 한 쪽 갑상선만 절제하는 엽절제술이 권고되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갑상선을 전부 제거하고 림프절절제술을 시행하며 수술 후 방사성동위원소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갑상선을 전부 제거하면 갑상선 호르몬이 없게 되므로 평생 호르몬 제재인 신지로이드를 복용해야 합니다. 엽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도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경우가 있으므로 혈중 호르몬양을 수시로 측정하여 모자라면 보충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주위 침범이 없는 1cm 미만의 미세 암에 대하여 초음파검사를 하면서 고주파를 이용하여 암을 제거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분당제생병원 로고

주소 1359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20(서현동 255-2) 연락처 대표전화:031-779-0000 응급센터:031-779-0119 ⓒ 2021 DAEJI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