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메인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영역 바로가기
통합검색

최적의 진료로 신뢰 받는 환자 중심 병원 BUNDANG JESAENG HOSPITAL

전립선암, 검진 통한 조기 발견 중요

손정환 의료진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5-07-22
  • 조회수 :59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전립선암은 한 해 동안 20,754명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립선암은 2021년에 남성 암 발생 순위 4위였으나 1년 만에 2단계 상승하여 2위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전립선암 유병자수는 147,684명으
로 남성 암 유병자 113만2,485명 중 13%를 차지하고 있습니. 방광 바로 아래에 위치해 요도를 둘러싸 , 의 일부를 생성하고, 정자의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전립선암은 남성의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고령 남성에게서 많이 진단됩니다.

전립선암은 50세 이전에는 드물지만 이후 빠르게 증가해 65세 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와  , , 암  .
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여러 연구와 임상결과를 보면 전립선이  장기이기에 남성호르몬이 전립 , , 식단이 전립선암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 , 이  행되기 전까지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전립선암은 요도와 거리가 먼 전립선의 주변부에서 시작되기에 
직접 압박하지 않아 초기에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이 높습니다.
전립선암의 생존율은 96.4%로 매우 높지만 3기 
이상일 경우 50%에 못 미칩니다.
따라서  
.
보기 시작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지연뇨), 소변 줄기가 약해지는 경우, 소변을 본 후에도 방광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는 잔뇨감이 드는 경우,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빈뇨),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고(야간뇨), 소변이 급해져 참지 힘든 요절박 등의 증상은 전립선 비대증와 비슷한 배뇨증상이라 착각할 수 있습니다.

전립선암은 직장 수지 검사와 전립선특이항원(PSA)검사를 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직장 초음파와 조직생검으로 확진합니다.

전립선암이 조직학적으로 진단되면 이후에는 병기 결정을 위한 자기공명촬영(MRI), 컴퓨터단층촬영(CT), 골동위원소촬영(BONE SCAN)을 시행합니다.
전립선암은 병기와 나이, 전체 신체 활동을 고려하여 경과 관찰, 수술요법, 방사선치료, 남성호르몬 차단요법, 항암치료 등을 선 .

암이 전립선에 국한되어 있을 때는 수술을 하는데 개복수술, 복강경수술, 로봇수술의 접근법이 있습니다. 전립선은 골반 깊숙한 곳에 위치해 있어 수술이 매우 까다로운데 최근에는 로봇수술장비를 통해 이러한 해부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하게 암 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립
선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생활이 중요하므로 고칼로 식과 동물성 지방이 많은 육류를 절제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 신선한 과일(토마토)와 채소, 도정을 하지 않거나 덜한 통곡식(밀이나 호밀 등), 그리고 콩류 따위를 충분히 먹는 것이 좋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일주일에 5회 이상, 매회 30분 이 .

분당제생병원 로고

주소 1359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20(서현동 255-2) 연락처 대표전화:031-779-0000 응급센터:031-779-0119 ⓒ 2021 DAEJI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