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해외여행 시 주의질병
간디스토마증
(간흡충증)
공수병
(광견병)
광동주혈선충증 낭미충증 뎅기열
들토끼병(야토병) 라임병 로아 사상충증과
회선 사상충증
로키산홍반열 렙토스피라증
리슈마니아증 말라리아 메디나충증
(드라쿤쿠루스증)
모두충증
(카필라리아증)
바르토넬라병
바베시아증 부루셀라증 사상충증
(필라리아병)
샤가스병 선모충증
수막구균감염증 수면병 스파르가눔증 앵무새병 열탈진과 열사병
요우스 주혈흡충증 쯔쯔가무시병 지알디아증 출혈열
콕시디오이도증 트라코마병 폐디스토마증
(폐흡충증)
페스트 포낭충증
(에키노코쿠스증)
황열 히스토플라즈마증 콜레라 에볼라바이러스병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메르스 라싸열 마버그열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페스트(Plaque)
페스트균 (Yersinia pestis)에 의한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쥐의 쥐벼룩이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 전파된다.
폐렴성 페스트에서만 호흡기 비말을 통한 사람간의 전파가 가능하다. 세가지 주요 임상 증상형으로 나타난다.
림프절 페스트는 감염된 쥐벼륙에 물린 상처 부위를 배액하는 림프절의 종창, 통증 및 화농 등으로 발생한다.
균혈증 페스트는 림프절 페스트에서 진행하거나 림프절염 없이 혈류를 통한 균의 전파로 인하여 수막염, 내독성 쇼크나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등이 발생한다. 폐렴성 페스트는 신체의 다른 부위로부터 페스트균이 전신에 퍼지면서 이차적인 폐렴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호흡기 비말을 통한 직접적인 감염으로 일차적인 폐렴성 페스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각적이고도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균혈증 페스트나 폐렴성 페스트는 전부가 사망하고 림프절 페스트환자의 50-60%가 사망한다. 페스트가 토착화된 지역이나 시골지역에서 캠핌이나 사냥을 할 때 설치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한다.
 
분포 : 중앙, 동부 또는 남부아프리카, 남미, 북미 서부 지역과 아시아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