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해외여행 시 주의질병
간디스토마증
(간흡충증)
공수병
(광견병)
광동주혈선충증 낭미충증 뎅기열
들토끼병(야토병) 라임병 로아 사상충증과
회선 사상충증
로키산홍반열 렙토스피라증
리슈마니아증 말라리아 메디나충증
(드라쿤쿠루스증)
모두충증
(카필라리아증)
바르토넬라병
바베시아증 부루셀라증 사상충증
(필라리아병)
샤가스병 선모충증
수막구균감염증 수면병 스파르가눔증 앵무새병 열탈진과 열사병
요우스 주혈흡충증 쯔쯔가무시병 지알디아증 출혈열
콕시디오이도증 트라코마병 폐디스토마증
(폐흡충증)
페스트 포낭충증
(에키노코쿠스증)
황열 히스토플라즈마증 콜레라 에볼라바이러스병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메르스 라싸열 마버그열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지카바이러스 감염증(Zika virus disease)

<개요>

  • 1947년 우간다 붉은털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 인체감염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

<질병특성>

원인 병원체

  •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같은 Flavivirus 계열

감염 경로

  • (주된 전파) 숲모기*에 의한 전파로 감염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 감염되지 않음
  •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가 주된 매개체이나 국내 서식하는 흰줄 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전파 가능
  • (수혈 전파) 관련 문헌 보고는 없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
  • (성접촉에 의한 전파) 성접촉 때문에 감염되었을 가능성 있는 사례 보고 있으며, 감염회복 후 2주까지 정액에서 바이러스 확인

임상적 특징

  • (주된 전파) 숲모기*에 의한 전파로 감염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 감염되지 않음
  •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가 주된 매개체이나 국내 서식하는 흰줄 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전파 가능
  • (수혈 전파) 관련 문헌 보고는 없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
  • (성접촉에 의한 전파) 성접촉 때문에 감염되었을 가능성 있는 사례 보고 있으며, 감염회복 후 2주까지 정액에서 바이러스 확인

<진단과 치료>

  • (진단) 혈청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하며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치료)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증상이 있을 경우 진통제, 해열제 치료 가능. 뎅기열이 배제되기 전까지는 아스피린 또는 소염진통제(NSAID) 치료 금지
  • 뎅기열의 경우 아스피린 또는 소염진통제 치료시 출혈 부작용 동반 가능

<예방법>

  • 귀국한 뒤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발진, 관절통, 근육통, 결막염, 두통)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주세요.
  •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려 주세요.
  • 귀국 후 1개월 간 헌혈을 금지해 주세요.
  • 성접촉에 의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잠정적* 권고안입니다.(‘16.2.19)
  • 공통사항 : 지카바이러스 환자와 그의 성 파트너는 지카바이러스가 성접촉에 의해 전파될 위험성과 그 예방법에 대한 안내를 받을 것을 권고
  • 가임여성 : 지카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한 국가를 여행한 가임여성은 귀국 후 2개월 동안 임신을 연기할 것을 권고
  • 남성 : 성 파트너가 임신상태인 경
  • 임신기간 동안은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 남성 파트너가 임신상태가 아닌 경우
  • 최소 2개월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 단, 확진된 경우 회복 후 6개월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해 주세요.
  • 야외 외출시에는 긴팔 상의와 긴바지 의류를 착용하고, 모기는 어두운 색에 더 많이 유인되므로 가능한 밝은 색 옷을 착용해 주세요.
  • 모기 기피제는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노출된 피부나 옷에 엷게 바르고, 눈이나 입, 상처에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 기타 모기 퇴치 제품 사용시 주의사항 확인 후 사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