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황열(yellow fever) |
황열은 Aedes aegypti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Flavivirus 속의 arbovirus인 황열 바이러스 질환으로 주로 중부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 특히 적도 중심으로 20도 내외의 지역에서 발생한다. 보통 3-6일정도의 잠복기를 가지며, 이 잠복기 후에는 갑작스런 발열, 두통, 요통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이 진행함에 따라 심한
간괴사로 인한 황달이 발생하고 신장 침범으로 인한 신부전과 출혈성열로 발전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황열의 예방에는 황열 예방접종 매우 효과적이며(약 100%), 예방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성인에서 황열이 발생할 경우의 치명율은 50%를 넘는다. 따라서 풍토지역을 들어가거나 경유하는 여행자들은 공인된 국제예방접종 증명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의 여행객들은 황열 예방접종 증명서가 요구되는지를 적어도
출국 10일 전에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황열을 매개하는 모기는 주로 낮 시간대에 물기 때문에 야간 뿐만
아니라 주간에도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황열이 풍토병으로 존재하는 국가는 주로 사하라 아래의 아프리카 국가 및 중남미 지역이 해당된다. (표 참고) |
|
표. 황열의 풍토지역 및 국가 (출처: CDC Health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 2008) |
아프리카
지역 |
Angola 앙골라 |
Guinea-Bissau 기니비사우 |
Benin 베냉 |
Kenya 케냐 |
Burkina Faso 부르키나파소 |
Liberia 라이베리아 |
Burundi 브룬디 |
Mali 말리 |
Cameroon 카메룬 |
Mauritania 모리타니 |
Central African Republic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Niger 니제르 |
Chad 차드 |
Nigeria 나이지리아 |
Congo 콩고 |
Rwanda 르완다 |
Cote d’Ivoire 코트디브아르(아이보리코스트) |
Sierra Leone 시에라리온 |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콩고민주공화국(자이르) |
Sao Tome and Principe
상투메프린시페 |
Equatorial Guinea 적도기니 |
Senegal 세네갈 |
Ethiopia 에티오피아 |
Somalia 소말리아 |
Gabon 가봉 |
Sudan 수단 |
The Gambia 감비아 |
Tanzania 탄자니아 |
Ghana 가나 |
Togo 토고 |
Guinea 기니 |
Uganda 우간다 |
|
중남미
지역 |
Argentina 아르헨티나 |
Panama 파나마 |
Bolivia 볼리비아 |
Paraguay 파라과이 |
Brazil 브라질 |
Peru 페루 |
Colombia 콜롬비아 |
Suriname 수리남 |
Ecuador 에콰도르 |
Trinidad and Tobago 트리니다드토바고 |
French Guiana 프랑스령기아나 |
Venezuela 베네수엘라 |
Guyana 가이아나 |
|
|
|
 |